전체 글(47)
-
직류 전기보다 교류 전기가 상용화가 된 이유
교류(AC) 전기가 직류(DC) 전기보다 상용화된 이유는 송전 효율성, 변압 용이성, 경제성 등의 장점 때문이다. 특히 장거리 송전이 가능하다는 점이 결정적인 이유였다. 교류 전기가 상용화된 주요 이유는 장거리 송전이 용이함 때문이다.교류는 변압기를 이용해 전압을 쉽게 높이거나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압을 높이면(수백 kV 이상) 전류가 줄어들어 송전 중 전력 손실(열 손실)이 크게 감소하는 장점도 있다. 직류는 당시(19세기 후반) 변압이 어려워 짧은 거리마다 발전소를 세워야 하는 단점이 있었지만 교류 덕분에 발전소를 도심 외곽에 건설할 수 있었고, 넓은 지역에 전력을 효율적으로 공급 가능 해 졌다. 변압기가 활용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교류는 변압기를 이용해 손쉽게 전압을 변환 가능한데 고전..
2025.02.26 -
볼펜의 발명
볼펜은 꽤 오랜 시간에 걸쳐 발전한 물건이다. 처음부터 지금 같은 형태로 있었던 게 아니라, 여러 사람들의 아이디어와 시행착오를 거쳐 지금의 모습이 된 것이다. 깃털펜과 만년필의 불편함옛날엔 사람들이 깃털펜이나 만년필을 썼는데, 이게 불편한 점이 많았다. 깃털펜은 잉크를 자주 찍어 써야 했고, 만년필은 잉크가 새거나 번지는 문제가 있었다.특히 종이가 거칠거나 습기가 많으면 더 잘 번졌다. 최초의 볼펜 아이디어 (1888년)헝가리 출신 발명가 "존 라우드(John Loud)"가 최초로 볼펜과 비슷한 걸 발명했다.강한 표면(예: 가죽)에 글씨를 쓰려고 끝에 작은 구슬이 달린 펜을 만들었다. 하지만 종이에 쓰기엔 적합하지 않아서 크게 퍼지진 않았다. 현대적 볼펜의 탄생 (1938년, 라슬로 비로)진짜 우..
2025.02.26 -
자동차 10만km 주행하면 차 바꾸라는 말의 유래를 찾아서 ,,
우리나라 자동차 산업의 초기 차량들의 엔진은 외국 자동차 회사의 엔진을 사용했다. 1975년 현대 자동차의 포니가 개발되었을 때 디자인은 이탈리아 카로체리아인 이탈디자인에 디자인을 의뢰하여 완성되었고 엔진은 일본 미쓰비시의 1,238cc 새턴 엔진을 사용하게 된다. 물론 미션도 미쓰비시 자동차의 미션을 가져다 사용하였다. 그러다가 1991년 우리나라 자동차 기업중 최초로 독자 엔진을 개발한다. 그 엔진 이름은 "알파" 이 앞파 엔진은 당시 현대 자동차 "스쿠프" 차량에 탑재를 하게 되었으며 최초로 외국에 로열티를 지불하지 않아도 되는 최초의 국산 엔진이 된다. 당시 알파 엔진의 개발이 시발점이 되어 점점 더 좋은 엔진이 탄생하게 되고, 새로 출시되는 차량에 하나둘씩 탑재되었다. 그런데 국내 자동차 엔진의..
2024.07.12 -
최초의 인공위성과 우주로간 동물
현재 지구를 돌고 있는 위성은 수없이 많다. 이로 인해 우주 쓰레기도 넘쳐나고 있다. 오늘은 세계최초의 인공위성에 대하여 알아보자. 1957년 10월 4일 세계 최초의 인공위성은 소련이 쏘아 올렸다. 지금은 러시아지만 당시 냉전시대에는 공산국가인 소련이다. 소련은 지름 58cm 83.6kg인 스푸트니크 1호를 1957년 10월 4일 쏘아 올린다. 이 위성의 주요 임무는 경쟁국인 미국을 정찰하는 것이 아니라 대기권의 밀도를 측정하였고 지구 전리층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는 용도였다. 이 위성은 지구 주위를 고도 940km 상공에서 96분에 한 바퀴를 돌며 신호를 보내왔다. 당시 기술로는 엄청난 사건이었기 때문에 미국을 긴장시켰으며 이 충격으로 미국은 1958년 미국항공우주국 NASA를 설립하는 계기가 되었다...
2023.04.21 -
세계최초의 MP3플레이어 개발의 뒷 이야기
최초의 MP3 플레이어의 등장 요즘은 스마트폰으로 음악을 듣는 시대에 살고 있지만, 불과 수년 전만 해도 MP3 Player를 하나씩 들고 다니던 시절이 있었다. 기존의 휴대용 카세트테이프 방식이나 CD 플레이어 방식의 음원기기보다 작고 가볍고 전력소비도 작은 데다 음악도 저장용량이 클수록 많이 들어갔기 때문에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MP3 플래이어의 등장은 1998년에 한국 기업에 의해서 세상에 공개된다. 1998년 3월, 독일에서 열린 IT 박람회(CeBIT)에서 "F-10"이라는 최초의 MP3가 그 모습을 선보였다. 당시 사람들은 MP3 플레이어가 뭐냐고 질문을 했고, 해당 부스는 주목을 받는다. Mp3 플래이어의 발명과 실패 최초로 MP3를 발명한 기업은 디지털캐스트라는 중소기업이다. 당시 새한정..
2023.04.20 -
얼음은 누가 최초로 만들었을까 ?
내가 어릴 적만 해도 얼음은 귀한 것이었다. 냉장고가 있는집이 드물었기 때문에 손님이 오면 우물에서 시원한 우물물을 떠다가 대접했었다. 하지만 요즘은 집집마다 냉장고 없는 집이 없고 심지어 냉장고가 여러 대인 가정도 많다. 그렇다면 냉장고가 발명되기전에 얼음의 의미는 무엇이었을까? 역사책에서 배웠듯이 얼음은 신라시대 석빙고나, 조선시대 동빙고, 서빙고에서 얼음을 꺼내 먹었다, 물론 겨울에 노역을 담당하는 일꾼들로부터 꽁꽁 얼어붙은 강에서 언 강물의 얼음을 잘라다 채워 넣었다. 얼음은 권력이고 부의 상징이었다. 그럼 본론으로 들어가서 얼음 이야기를 해보자. 최초로 얼음을 만든 사람 얼음은 1748년 영국 윌리엄 컬런(William Cullen)이 최초로 얼음을 만든다. 얼음을 만든 원리는 땀이 마를 때 피..
2022.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