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57)
-
플라스틱의 발명은 코끼리 상아로 만든 당구공 때문 ,,,
플라스틱은 천연자원의 부족을 해결하고, 대체재를 개발하기 위해 발명되었다. 19세기 후반, 상아(코끼리 엄니), 거북이 등껍질, 천연고무 등 자연에서 얻는 재료가 부족해지면서 새로운 소재가 필요했다. 특히, 당구공, 빗, 피아노 건반, 단추 등에 사용되던 코끼리 상아의 공급이 어려워졌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공 소재가 연구가 시작 되었다.부연설명을 하자면 당구공의 재료로 코끼리 상아를 사용하게 되면, 코끼리 한 마리당 당구공 3~4개 정도를 만들 수 있었다. 셀룰로이드1869년 최초의 합성 플라스틱 "셀룰로이드" 발명이 되었는데 미국의 발명가 존 웨슬리 하얏트(John Wesley Hyatt)가 개발하였다.당시 미국의 당구공 제조업체 Phelan & Collander는 코끼리 상아를 대체..
2025.02.27 -
최초의 인터넷 쇼핑몰 탄생과 몰랐던 이야기
최초의 인터넷 쇼핑몰 세계 최초의 인터넷 쇼핑몰은 "인터샵(Intershop 1994년) 이지만, 가장 널리 알려진 초기 온라인 쇼핑몰은 "아마존(Amazon 1995년)" 이다.1995년에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윈도우즈 95가 출시된 해 이기도 하다. 인터샵(Intershop, 1994년)은 독일의 토마스 네우바르트(Thomas Neudecker)와 스테판 슈람(Stefan Schambach)이 개발한 세계 최초의 온라인 상거래 플랫폼인데 아마존(Amazon, 1995년)의 제프 베이조스(Jeff Bezos)가 온라인 서점으로 시, 이후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으로 성장하게 된다. 베이조스는 아마존을 창업하기 위해 안정적인 월스트리트 직장을 포기하고 차고에서 사업을 시작하였다. 물론 다른 유명한 미국..
2025.02.27 -
비운의 노벨상 수상자와 비하인드 스토리
프리츠 하버 (Fritz Haber, 1918년 화학상)생명을 살리고, 죽음도 가져온 과학자이다 . 암모니아 합성법(하버-보슈 법) 개발 인류 식량 생산 혁명을 이루어 냈지만 1차 세계대전 중 독가스(염소가스) 무기화 주도 "인류를 먹여 살린 영웅이자, 학살을 초래한 악마"로 평가되었다. 노벨상 수상 후에도 독가스 연구를 지속하였으며 아내는 이를 비관해 자살하였다. 나치 집권 후 유대인 출신이라는 이유로 독일에서 쫓겨나 망명 중 사망하였다. 마리 퀴리 (Marie Curie, 1903년 물리학상 & 1911년 화학상) 그녀는 노벨상은 수상했지만 방사능으로 목숨을 잃었다. 방사능 연구의 선구자이며 최초의 여성 노벨상 수상자이기도 하다.그녀는 장시간 방사능에 노출되어 재생불량성 빈혈로 사망하게 된다...
2025.02.27 -
트랜지스터의 발명과 비하인드 스토리
트랜지스터는 현대 전자기기의 핵심 부품으로, 1947년 미국 벨 연구소(Bell Labs)에서 존 바딘(John Bardeen), 월터 브래튼(Walter Brattain), 윌리엄 쇼클리(William Shockley) 세 명의 과학자가 개발했다. 하지만 그 과정에는 여러 흥미로운 비하인드 스토리가 있다. 트랜지스터가 필요했던 이유로는 1940년대까지 전자 회로의 핵심 부품은 진공관(Vacuum Tube) 이었는데 진공관은 크기가 크고 전력 소모가 많으며 쉽게 고장나는 단점이 있었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더 작고 효율적인 전자 부품이 필요해졌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벨 연구소에서 반도체 연구가 시작되었다. 1945년 윌리엄 쇼클리는 "반도체를 이용해 증폭기를 만들 수 있다"는 아이디어를 가지..
2025.02.26 -
직류 전기보다 교류 전기가 상용화가 된 이유
교류(AC) 전기가 직류(DC) 전기보다 상용화된 이유는 송전 효율성, 변압 용이성, 경제성 등의 장점 때문이다. 특히 장거리 송전이 가능하다는 점이 결정적인 이유였다. 교류 전기가 상용화된 주요 이유는 장거리 송전이 용이함 때문이다.교류는 변압기를 이용해 전압을 쉽게 높이거나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압을 높이면(수백 kV 이상) 전류가 줄어들어 송전 중 전력 손실(열 손실)이 크게 감소하는 장점도 있다. 직류는 당시(19세기 후반) 변압이 어려워 짧은 거리마다 발전소를 세워야 하는 단점이 있었지만 교류 덕분에 발전소를 도심 외곽에 건설할 수 있었고, 넓은 지역에 전력을 효율적으로 공급 가능 해 졌다. 변압기가 활용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교류는 변압기를 이용해 손쉽게 전압을 변환 가능한데 고전..
2025.02.26 -
볼펜의 발명
볼펜은 꽤 오랜 시간에 걸쳐 발전한 물건이다. 처음부터 지금 같은 형태로 있었던 게 아니라, 여러 사람들의 아이디어와 시행착오를 거쳐 지금의 모습이 된 것이다. 깃털펜과 만년필의 불편함옛날엔 사람들이 깃털펜이나 만년필을 썼는데, 이게 불편한 점이 많았다. 깃털펜은 잉크를 자주 찍어 써야 했고, 만년필은 잉크가 새거나 번지는 문제가 있었다.특히 종이가 거칠거나 습기가 많으면 더 잘 번졌다. 최초의 볼펜 아이디어 (1888년)헝가리 출신 발명가 "존 라우드(John Loud)"가 최초로 볼펜과 비슷한 걸 발명했다.강한 표면(예: 가죽)에 글씨를 쓰려고 끝에 작은 구슬이 달린 펜을 만들었다. 하지만 종이에 쓰기엔 적합하지 않아서 크게 퍼지진 않았다. 현대적 볼펜의 탄생 (1938년, 라슬로 비로)진짜 우..
2025.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