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52)
-
장영실과 동시대에 살았던 레오나르도 다빈치
조선이 장영실은 과학자이며 세종대왕의 치세 아래에서 활약한 뛰어난 기술자였다.그는 15세기 초반 특히 1430년대에 자격루(물시계), 앙부일구(해시계), 혼천의(천문 관측기구), 측우기(세계 최초의 강우량 측정기구) 등을 제작하여 조선의 과학기술 발전에 족적을 남긴 인물이다.장영실이 위대한 업적을 남긴 반면, 그의 출생과 사망은 추정만 할 수 있을 뿐 정확히는 기록이 남아 있지 않다. 대략 추정해 보면 1390년 후반 출생으로 보고 있으며, 공식적인 사망 기록은 없으나 1442년 역사적 기록이 없는 것으로 보아 대략 이 기간에 활동한 인물로 추정할 수뿐이 없다.반면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1452년 출생 1519년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장영실이 사망하고 약 몇년 후에 태어난 인물이라 여겨진다...
2025.07.15 -
한글이 창제 되었을때 잉글랜드와 프랑스는 100년 전쟁중이었다
세종대왕은 1443년 훈민정음 창제를 시작한다.그리고 3년 후인 1446년 훈민정음은 우여곡절 끝에 일반 반포를 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백성들은 글을 쉽게 배우고 쓸고 있게 된다. 이 시기는 15세기 중반으로 유럽은 르네상스 시대에 접어 들어 문화 및 예술의 부흥기를 맞이하던 시대다.이탈리아를 중심으로 르네상스의 전성기를 맞이 하게 되는데,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훈민정음 반포 후 6년 후에 태어났으며, "도나텔로"나 "브루넬레스키" 등의 예술가들이 활동을 하던 시기다.그리고 구텐베르크의 인쇄기가 곧 개발이 완료되는 시점이기도 하다. 잉글랜드와 프랑스는 백년전쟁중이었으며, 한글이 반포되는 그날에도 전쟁 중이었다.1431년 잔다르크는 이미 사망했지만 전쟁은 거의 막바지에 다다른 시기였다 미국은 아직..
2025.07.15 -
주방용 합성세제의 발명과 숨겨진 일화
주방용 합성세제(즉, 주방용 액체형 세정제 또는 합성 계면활성제 기반 세제)는 우리가 오늘날 주방에서 사용하는 "액체 주방세제"의 시초이며, 그 탄생은 20세기 초중반, 세계대전이라는 특수한 역사와 깊이 얽혀 있다. 전통 세정제는 원래는 비누가 모든 세척제의 주역이었다. 동물성 지방과 알칼리를 혼합한 자연유래 제품으로, 세탁은 물론 설거지까지 사용됐다.가끔 외국 영화를 볼 때면 고체 비누로 설거지를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본래 비누는 경수(딱딱한 물)와 만나면 찌꺼기(석회 비누)를 남기고, 기름때 제거 능력도 제한적이었다.제2차 세계대전이 이러한 전통적인 비누형 세제의 본질을 바꾸게 된다.전쟁으로 동물성 기름과 천연 재료가 부족해지자, 독일을 비롯한 유럽 국가들이 합성 계면활성제 ..
2025.07.10 -
인간이 만든 세상에서 제일 밝은 빛
인간이 만든 세상에서 가장 밝은 빛은 과학과 기술이 만들어낸 극한의 성취 중 하나일 것이다.현재까지 "세상에서 가장 밝은 빛"으로 꼽히는 것은 미국 일리노이주에 있는 SLAC(Stanford Linear Accelerator Center) 국립 가속기 연구소의 ‘LCLS (Linac Coherent Light Source)’ X선 자유전자 레이저이다그 빛은 태양보다도 10억 배 밝은 X선 플래시를 만들어낼 수 있다. 20세기 중반부터, 과학자들은 전자현미경이나 광학현미경의 해상력을 넘어서 원자와 분자의 움직임까지도 실시간으로 관찰하고 싶다는 꿈을 꾸었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의 빛보다 훨씬 짧은 파장의 빛, 즉 X선이 필요했다. 하지만 일반적인 X선은 흐릿했고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없었다. 그래서 나온 것..
2025.07.10 -
한글을 사용하는 나라 그리고 한글의 위기
한글이 위대하다는 것은 여러 매체나 기록, 연구에 의해서 입증되었다.문자가 창제된 원리와 만든 이 가 밝혀진 세계에서 유일한 문자이다.그렇기 때문에 훈민정음은 1997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도 등재되어 있다. 오늘은 세계 여러나라중에 한글을 사용하는 나라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고자 한다.북한도 한글(조선글이라고 부름)을 공식 문자로 사용한다 다만 철자법, 어휘, 표기 방식 등은 남한과 차이가 있다. 예를 들면 남한은 ‘역사’, 북한은 ‘력사’ 라고 쓴다.대한민국은 한글날이 10월 9일이고 북한은 1월 15일이며 한글 창제를 기념하는 국가 공휴일로 지정되어 있다.중국 내 조선족 자치구역인 연변(延邊)에서는 한글이 공식적 소수민족 문자로 사용되고 있다. 학교, 표지판, 방송 등에서 중국어와 병기되어 사용된다..
2025.04.11 -
과거에는 빛의 속도를 어떻게 측정했을까 ?
아리스토텔레스와 갈릴레오 빛의 속도는 얼마 일까? 과거 사람들은 빛의 속도에 대한 개념이 없었다. 기원전 4세기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는 빛은 순간적으로 전달된다라고 빛의 속도를 이야기했으며 갈릴레오는 산 꼭대기에서 두 사람이 랜턴을 켜는 방식으로 실험했지만, 빛의 속도가 너무 빨라 실패했다. 그렇다면, 최초로 빛의 속도를 측정한 사람은 누구일까? 뢰머의 측정올레 뢰머(Ole Rømer, 1676년)의 위대한 발견은 빛이 속도가 있다는 가설을 이루어낸 사람이다. 덴마크 천문학자 뢰머는 1676년, 목성의 위성인 이오(Io)를 관찰하다가 우연히 빛의 속도를 측정하게 된다. 뢰머는 목성의 위성을 이용하여 빛이 속도를 계산해 낸다. 목성의 위성 이오(Io)는 일정한 주기로 목성의 그림자에서 ..
2025.04.03